배터리 오래 쓰고, 고장 없이 타는 관리법 총정리!
전동킥보드는 **“기계”이자 “소모품”**입니다.
관리를 잘하면 3~5년까지도 문제 없이 탈 수 있지만,
방치하면 1년도 안 돼 배터리 성능 저하, 고장, 수리비 폭탄이 발생할 수 있어요.
이 글에서는 일반 사용자도 쉽게 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 관리 요령과 수리 포인트를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완전 방전 금지
→ 배터리를 0%까지 다 쓰지 말고, 20% 이하로 떨어지면 충전
80~90% 충전만 유지해도 수명 연장
→ 매번 100% 완충보다 약간 덜 채우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
충전 후에는 꼭 충전기 분리
과충전 방지: 오래 연결하면 배터리 팽창 위험
정품 충전기 사용: 호환 충전기는 발열·화재 위험 ↑
직사광선 NO, 실내 서늘한 장소에 보관
겨울철 장기 미사용 시 60~70% 충전 상태로 보관
공기압 주기적 체크 (공기타입일 경우)
→ 공기 빠지면 주행 불안정 + 타이어 마모 빨라짐
고무 경화 확인: 오래되면 딱딱하게 굳어 미끄러짐 발생
마모 한계선 다다르면 교체 필요 (홈이 거의 안 보이면 위험)
솔리드 타이어(무공기)는 관리 편하나 승차감↓
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: 패드 마모 시 소리 발생
전자 브레이크 반응 느려질 때: 배선 체크 또는 컨트롤러 점검
브레이크 유격 조정은 드라이버로도 가능
부위 | 점검/수리 내용 |
---|---|
핸들 유격 | 조임 볼트 확인 및 조절 |
접이식 구조 | 힌지 볼트 헐거움 여부 점검 |
라이트 | 전구·배선 단선 여부 점검 |
펜더·스탠드 | 덜컹 소음 여부 체크 (볼트 조임) |
육각 렌치 (4mm, 5mm)
십자 드라이버
WD-40 같은 윤활제
브레이크 패드 전용 공구 (모델 따라 상이)
모터 소리 이상/주행 불가
배터리 팽창·충전 불량
컨트롤러 고장/전기계통 문제
가까운 수리센터나 전문 정비점 방문 추천
→ 일부 대형 브랜드는 전용 A/S 센터 운영
항목 | 관리 주기 | 체크 항목 |
---|---|---|
배터리 충전 | 매 사용 후 | 20~90% 범위 유지 |
타이어 공기압 | 1~2주 | 마모·이물질·펑크 확인 |
브레이크 패드 | 1개월 | 마모도, 반응 속도 |
전기계통 | 3개월 | 라이트, 클락션, 계기판 작동 |
프레임/조인트 | 3개월 | 볼트 풀림, 유격 점검 |
물청소 금지! → 전자부품 쇼트 위험
마른 수건 + 브러시로 먼지만 제거
비 오는 날 주행 후는 반드시 건조 후 실내 보관
장기 미사용 시 타이어 공기 빼고 보관 (공기식일 경우)
“탈 때만 신경 쓰는 전동킥보드, 관리 안 하면 비용 더 들어갑니다.”
정기적인 관리와 점검은 안전뿐 아니라,
중고 되팔 때 ‘믿고 살 수 있는 제품’으로 만들어주는 지름길입니다.
👉 다음 편에서는
전동킥보드로 떠나는 국내 여행지 TOP 5를 소개합니다.
도심 속 힐링부터 바다까지, 라이딩하기 좋은 곳들만 콕 집어드릴게요!